반응형
WebUI에서 Settings 메뉴 클릭 후
왼쪽에서 Stable Diffusion을 누르고
Clip skip에 2를 할당한 후
(이미지에서는 화면이 너무 길어 자름)
Apply settings 를 눌러주면
동일한 내용의 프롬프트를 써도
AI가 더 잘 이해하게 되는데
기술적인 부분은 여기까지가 끝이고
사유를 아주 짧게 압축해보자면
대부분의 모델이
Clip skip을 2로 사용해서 만들고 있기 때문에
내가 프롬프트를 입력할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를 사용하면
프롬프트를 더 잘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약간 더 자세하게 알아보자면
CLIP 모델은 최대 12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져 있는데
내가 입력한
프롬프트 텍스트를 한번 분석한 다음
대충 뭐 만드려는가 보다
이러고 다음 레이어로 넘겨서
이전 분석한 내용에
다시 프롬프트 텍스트를 대입해서
한번 더 분석하는 식인데
레이어가 1이라면
COW, 1girl 에서
한우인지 미국소인지, 어떻게 생긴 여자인지
이런 분석이 부족하기 때문에
원하는 내용의 결과를 얻기 어려운데
레이어가 2라면
소는 소인데 뭔 소인지..
이런 식으로 분석이 가능해져서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여기서 레이어가 너무 많아지면
이미 원하는 결과를 얻은 상태인데
거기에서 또 분석하고 분석해서
이상한 결과가 나오게 되는데
대부분의 모델이 2 정도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충분하다고 보고
2를 기준으로 두고 개발했기 때문에
그 이상 분석하면 이상한 결과가 나오게 되어
2 상태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반응형
'잡담 > WebUI(stable-diffu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UI 컨트롤넷 설치부터 각종 사용방법 정리글 (0) | 2023.03.05 |
---|---|
WebUI 컨트롤넷 fake_scribble 사용방법 (0) | 2023.03.05 |
WebUI 컨트롤넷 포즈 구하는 방법 (0) | 2023.03.04 |
WebUI 컨트롤넷 OpenPose Editor 설치 및 사용방법 (0) | 2023.03.04 |
WebUI Openpose Editor 'ffmpeg' not found 에러 해결방법 (0) | 2023.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