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UI 에서 VAE란 Variational Autoencoder의 약자로
뜻 봐도 뭔 말인지 모를텐데 바로 생략하고
VAE는 이미지를 선명하거나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보정 처리를 담당하게 된다
vae-ft-mse-840000-ema-pruned.ckpt · stabilityai/sd-vae-ft-mse-original at main
Detected Pickle imports (4) "torch._utils._rebuild_tensor_v2", "torch.IntStorage", "torch.FloatStorage", "collections.OrderedDict" What is a pickle import?
huggingface.co
vae/kl-f8-anime2.ckpt · hakurei/waifu-diffusion-v1-4 at main
Git LFS Details SHA256: df3c506e51b7ee1d7b5a6a2bb7142d47d488743c96aa778afb0f53a2cdc2d38d Pointer size: 134 Bytes Size of remote file: 405 MB Git Large File Storage (LFS) replaces large files with text pointers inside Git, while storing the file contents on
huggingface.co
대표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VAE는
vae-ft-mse-840000-ema와
kl-f8-anime2
가 되겠는데
각각 실사 그림체와, 만화 그림체에서 주로 사용하게 된다
적용 방법은 위 링크로 들어가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C:\stable-diffusion-webui\models\VAE
위 경로에 넣어주면 된다
이후 WebUI를 다시 실행한 뒤
Settings > Stable Diffusion > SD VAE 에서
다운로드 받은 VAE로 변경한
후 Apply Settings를 눌러주면
VAE가 그림체에 적용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그림체인 Checkpoint를 변경할 때마다
VAE를 변경하는 과정이 상당히 귀찮기 때문에
아래 링크를 사용해서 편하게 변경하는 쪽을 권장한다
WebUI 상단에 VAE 변경 추가하는 방법
WebUI에서 checkpoint는 화면 상단에서 쉽게 변경할 수 있지만 VAE의 경우에는 매번 Settings 쪽으로 들어가야 해서 번거로운데 이것도 화면 상단에 추가할 수 있다 먼저 Settings로 들어온 뒤 User interface
flatsun.tistory.com
'잡담 > WebUI(stable-diffu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UI 저퀄 이미지를 img2img로 볼만하게 만드는 방법 (0) | 2023.04.03 |
---|---|
WebUI 이미지로 txt2img에서 그림 그리는 방법 (0) | 2023.04.02 |
WebUI 캐릭터 연령 체형 설정방법 (1) | 2023.04.01 |
WebUI 캐릭터 키 다르게 하는 방법 (0) | 2023.04.01 |
WebUI 후처리 기능 사용방법 (0) | 2023.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