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Nexacro74

넥사크로 setFormatColProperty로 그리드 열 크기 변경하기 버튼을 눌렀을 때 가운데에 들어있는 AGE의 크기를 0으로 만들어 보이지 않게 하고 싶은데 이럴 때에는 setFormatColProperty를 사용해주면 된다 this.그리드명.setFormatColProperty(변경할 열 숫자, "변경할 타입 명", 바꿀 값); ㄴ 여기서는 크기를 변경할 것이기에 size를 사용했다.. 위의 코드를 읽어보면 Grid00의 1번 열의 크기를 0으로 바꾼다는 말이다 만들고 나서 버튼을 눌러보면 저렇게 버튼을 눌렀을 시 1번 열인 AGE의 크기가 0이 되어 없어지는 것이 보인다 2019. 6. 19.
넥사크로 copyRow로 다른 데이터셋의 행 복사하기 여기 컬럼만 있고 값은 없는 텅텅 빈 dsSearch2 데이터셋이 보인다 반면 dsSearch 데이터셋에는 세 행이 보이는데 버튼을 눌렀을 때 dsSearch의 0번째 행의 데이터를 가져와 dsSearch2의 0번째 행으로 옮겨주려 한다 this.값을 받을 데이터셋.copyRow(값을 넣을 행 위치 ,값이 들어있는 데이터셋, 값이 들어있는 데이터셋에서 행의 위치 ); 설명이 좀 난잡한데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dsSearch의 0번째 행(두번째 0)을 dsSearch2의 0번째 행(첫번째 0) 에 넣어준다는 얘기다 버튼을 눌러 보니 dsSearch2에 값이 잘 복사된 것이 보인다 2019. 6. 19.
넥사크로 그리드 안 특정 컬럼 인덱스 번호 가져오기 넥사크로에서 그리드 안 특정 컬럼의 인덱스 번호를 가져오고 싶을 때가 있는데 this.그리드명.getBindCellIndex("body","컬럼명"); 을 통해 그리드 안 특정 컬럼의 인덱스 번호를 가져올 수 있다 실전에서는 e.col == this.그리드명.getBindCellIndex("body","컬럼명"); 와 같이 그리드 안 특정 컬럼을 눌렀을 때 이런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019. 6. 18.
넥사크로 그리드 클릭 한 번만 해서 수정하기 넥사크로 그리드는 기본적으로 더블 클릭을 해야 수정할 수 있는데 이걸 한번만 눌러도 수정할 수 있게 바꿔달라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그리드를 누른 후 프로퍼티에서 autoenter를 select로 바꿔주면 그리드를 한번만 클릭해도 수정할 수 있다 2019. 6. 17.
넥사크로 saveXML 으로 지운 행도 확인하기 this.데이터셋명.saveXML(); 은 현재 데이터셋을 XML 형태로 보여주는데 데이터셋에서 행을 지워버리면 지운 행은 나타나지 않는다 지운 행도 saveXML()로 확인하려면 this.데이터셋명.saveXML("", "all")을 사용해주면 된다 deleteRow로 행을 다 지우고 this.데이터셋명.saveXML("", "all"); 으로 데이터셋을 확인하니 지운 행도 나타나는 것이 보인다 2019. 6. 17.
넥사크로 팝업창에서 원래 화면 컴포넌트 수정하기 팝업창에서 원래 화면을 수정하려 하는 경우 opener를 사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팝업에서 원래 화면의 컴포넌트를 수정한다고 해 보자 특정 버튼의 set_visible(false); 를 주려고 한다면 this.opener.btn00.set_enable(false); 이런 식으로 사용하고 함수의 경우에는 this.opener.fnSelect();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2019.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