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Nexacro74

넥사크로 addColumn으로 컬럼 추가하기 넥사크로에서 데이터셋은 조회해서 데이터셋을 가져올 경우 기존에 생성해둔 데이터셋 컬럼들이 테이블에서 가져온 조회 컬럼들과 일치하지 않아 증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addColumn을 이용해서 컬럼을 다시 추가해줄 수 있다 this.데이터셋명.addColumn("추가할 컬럼명", "데이터 타입", "크기"); 이런 식으로 사용한다 이후 버튼을 눌러보니 addColumn이 잘 적용된 것이 보인다 2019. 6. 17.
넥사크로 컴포넌트끼리 크기 맞추기, 간격 조절하기 여기 넥사크로에서 개판으로 깔아놓은 컴포넌트가 보이는데 프로퍼티를 수정해 가면서 크기를 맞추고 간격을 조절하는건 엄청난 시간이 걸린다 넥사크로 자체 도구를 사용해 편하게 크기를 똑같이 만들고 동일한 간격으로 만들어 보자 상단에서 View -> Toolbars -> Align 을 눌러주면 위치 맞춰주고, 크기 조절하고, 간격 맞춰주는 툴바가 생긴다 대표적인 기능만 알아보자 먼저 두 컴포넌트의 크기를 똑같이 만들어 보자 넥사크로에서는 가장 마지막에 고른 컴포넌트가 기준이 되는데 기준에 맞춰서 다 따라간다는 얘기다 width 옵션을 통해 가로 길이를 똑같이 맞출 수 있다 다음으로는 두 컴포넌트의 left 위치를 똑같이 맞춰보자 Lefts 버튼을 누르니 두 컴포넌트가 동일한 left로 맞춰진 것이 보인다 마지막.. 2019. 6. 16.
넥사크로 팝업 화면에서 이전 화면 function 수행하기 넥사크로에서 팝업을 열고 그 팝업에서 이전 화면의 function을 수행하려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자면 팝업에서 뭘 저장하고 나면 이전 화면에서 자동으로 조회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opener를 사용하면 팝업을 열게 해준 화면의 function을 사용할 수 있다 this.opener.FunctionSearch(); ㄴ 함수명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2019. 6. 16.
넥사크로 컬럼 값 뒤에 % 같은 텍스트 붙이기 여기 그리드가 하나 있다 근데 RAISE 부분에는 %가 추가로 붙어야 하는데 DB에서는 %를 붙여 가져올 수가 없는 경우에 DB를 수정하지 않고 넥사크로 그리드만 고쳐 RAISE 컬럼 뒤의 값에 %를 붙여보자 먼저 그리드를 더블 클릭 후 %를 붙이려는 컬럼을 선택하자 이후 text 속성의 우측에서 Set Expression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걸 누르고 컬럼명(DB에서 가져와 그리드와 바인드 시킨 값) + '%'을 하면 짜잔! 숫자 뒤에 %가 붙여진 것이 보인다 단순히 텍스트를 붙이려면 Set Expression을 누르고 Expr을 통해 컬럼명(DB에서 가져와 그리드와 바인드 시킨 값) + '원하는 텍스트'; 를 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행 추가 버튼을 누를 시에 자동으로 값 + 번호1,2,3 이런 식.. 2019. 6. 16.
넥사크로 라디오 가로로 배치되게 만들기 넥사크로 라디오 사용하기 넥사크로에서 처음 라디오를 끌어다 놓으면 이렇게 Radio00 만 덜렁 있는데 버튼은 대체 어디 간 것일까. 라디오에 버튼이 들어오게 만들어 보자 먼저 데이터셋을 만들어야 하는데 보여질 이름과 선택 시 값만.. flatsun.tistory.com 저번 글에서 넥사크로로 라디오를 만들긴 만들었는데 라디오가 세로로 배치된 것이 보인다 원래 대부분의 라디오는 가로로 배치되는 만큼 라디오를 가로로 배치되게 만들어 보자 라디오를 누르면 오른쪽의 Properties에서 direction 이라는 옵션 값이 보이는데 기존 horizontal을 vertical로 바꿔주면.. 라디오가 가로로 변경된 것이 보인다 2019. 6. 16.
넥사크로 라디오 사용하기 넥사크로에서 처음 라디오를 끌어다 놓으면 이렇게 Radio00 만 덜렁 있는데 버튼은 대체 어디 간 것일까. 라디오에 버튼이 들어오게 만들어 보자 먼저 데이터셋을 만들어야 하는데 보여질 이름과 선택 시 값만 있으면 된다 이후 데이터셋을 라디오에 끌어다 놓은 뒤 Bind InnerDataset을 누르고 선택 시 code 와, 보여지게 되는 data를 선택해주면 짜잔! 라디오가 제대로 생성된 것이 보인다 2019. 6.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