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담/웹개발(SI) 일지

SI 초급 개발자를 위한 프리랜서 공부법

by flatsun 2021. 1. 2.
반응형

SI는 사람만 있으면 되는 산업이기 때문에

회사가 대기업에 본인 팔면서 얻은 돈을 나한테 너무 조금 떼어준다!

 

SI 프로그래머와 단가

SI(웹개발) 산업은 기본적으로 중소기업에서 개발자를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일정 기간동안 대기업에 넘긴 후 돈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여기서 개발자는 경력에 따라 초급 ~ 특급으로

flatsun.tistory.com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프리랜서를 하게 되는데

 

이 프리랜서가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어느 프로젝트를 들어가던 간에

절반이 프리랜서거나 혹은 그 이상이 프리랜서인 경우를 쉽게 볼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프리랜서는 정직원이 아니라 계약직이기 때문에

프리로 들어와서 일을 못하면 칼같이 짤리는 경우가 많은데

 

개발을 못하는 프리랜서들은 어디 지방에 사람 없는 프로젝트나

집에서 노는 식으로 자동으로 없어지기 때문에

우리가 접하게 되는 대부분의 프리랜서들은

다 개발을 잘한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정직원들은 경력이 쌓여가면서

개발보다는 관리직에 해당하는 PM으로 빠지다 보니

부장, 임원급 PM들은 개발 지식은 다 잊어버리고

관리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뭐 공부하다가 막히면

부장한테 들고가는게 아니라

프리랜서한테 들고가서 물어봐야 하는데

 

프리랜서는 우리 회사 직원도 아니고 프로젝트 끝나면

영영 볼 일 없는 사람인데 물어보면 알려주기나 할까 싶겠지만

대부분의 프리랜서가 물어보면 엄청 잘 알려준다

 

공부하다가 막히는 내용들도 들고가서 물어봐도 되는데

 

프리랜서는 실력에 경험이 합쳐진 형태의 사람이기 때문에

막히는 부분은 미리 정리해놔서 물어보면

삽질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프리랜서들에게 핵심만 전수받을 수 있게 된다

 

알고리즘 문제 같은것도 내가 스스로 해결할라고 하면 머리 파괴되는데

프리랜서는 이미 경험이 있기 때문에

후다닥 풀고 핵심 노하우만 전수받을 수 있게 된다

 

물론 받기만 하면 잘 도와주지 않기 때문에

간간히 아이스 아메리카노 같은거 사다가 바치면

이직하는 방법이나 프리뛰는 방법 등

돈 주고도 구할 수 없는 귀중한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건 엄청나게 남는 장사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일하면서 막히면 프리랜서한테 물어보고

공부하다가 막히면 정리해서 프리랜서한테 가서 물어보자

반응형

'잡담 > 웹개발(SI)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 공개 하기 VS 안하기  (0) 2021.01.02
SI 프로젝트와 보안  (0) 2021.01.02
SI 영업의 비밀  (1) 2021.01.02
SI 프로그래머와 간식  (0) 2021.01.01
IT 스타트업 취직할까 말까 싶을때  (1) 2021.01.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