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담/웹개발(SI) 일지314

내가 개발한 프로그램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이게 게임을 하다가 F를 누르면 상자가 뿅 하고 튀어나와야 되던데 버그가 있어서 F를 눌렀는데도 상자가 나오지 않더라 대부분은 이 경우 게임사 욕을 하면서 자연스레 보상을 바라게 되는데 이건 게임의 경우고 SI 업무의 경우에는 내가 열심히 개발한 프로그램을 오픈하면 공들여 만들고 테스트 열심히 해봤더라도 반드시 에러가 난다 근데 에러가 나면 이거를 어떻게 수습하냐는 거다 대부분의 SI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이용하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고 에러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치명적인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에러 났네요 이러고 알려주면 원인을 파악한 뒤 고치고 파일을 넘겨주면 점심 시간에나 퇴근 시간에나 고친 부분을 다시 올려서 수습하게 되는데 자연스럽게 발생한 에러를 자연스럽게 처리 가능하므로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 2021. 2. 14.
SVN VS GIT 장단점 및 차이 예전에는 거의 모든 SI 프로젝트에서 SVN을 사용했지만 요즘은 GIT 비율도 슬금슬금 늘어나는 추세다 아마 시간이 지날수록 GIT 비율이 늘어나는게 추세겠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GIT보다는 SVN을 훨씬 많이 쓴다 일단 SVN와 GIT의 결정적인 차이는 SVN이나 GIT이나 서로 온갖 기능이 있다고 하지만 SVN은 한 저장소(Repository)를 가지고 모든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한 뒤 개발 종료 후 그 저장소를 가지고 배포를 하게 되고 GIT은 동일한 저장소에서 각각 Branch를 따간 후 필요한 부분을 개발하고 Master Branch에 합친 뒤(Merge) Master Branch를 배포하는 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일단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는 GIT보다 SVN이 훨씬 유리한데 SVN.. 2021. 2. 9.
SI 명절 전날 조기퇴근 가능할까? 설날이나 추석 시즌 전쯤이 되면 맨날 야근만 하던 SI도 조기퇴근을 노려볼 수 있게 되는데 프로젝트 오픈이 얼마 남지 않았거나 설날에 프로젝트 오픈하는 금융권의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경우에는 오전 근무만 하고 점심 먹고 퇴근을 하거나 늦어도 2-3시 쯤에는 집으로 보내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서 명절 전인 만큼 점심은 좋은 걸 먹게 될 확률이 높고 다들 조기퇴근만 기다리면서 마음이 이미 일 밖으로 떠나 있기에 출근해서 간단한 일만 하거나 혹은 폰 만지면서 딴짓거리를 하다가 점심 먹고 귀를 크게 열어둔 뒤 퇴근하자는 말만 기다리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일찍 가겠지만 일반적이지 못할 경우에는 일 할거 다 하다가 아 시발.. 그래도 명절인데 끝까지 일시키네 이러면서 카톡에 신세한탄 하면서 시간 다 채우고 .. 2021. 2. 9.
SI에서 명절에 출근하는 기준은? SI(웹개발)은 명절 출근이 잦은 산업분야 중 하나인데 그냥 구글에 개발자 명절 출근만 쳐봐도 쉬는날에 출근해서 일했어요 ㅠㅠ 이런 내용의 글들이 가득하다 근데 SI가 무슨 지옥 한가운데도 아니고 무조건 명절에 출근하지는 않는다 먼저 명절에 출근하려면 두 가지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하는데 바로 프로젝트를 기간 안에 완성하지 못할 것 같음 프로젝트 오픈을 명절에 하려 함 이런 느낌을 대기업 IT 계열사나 회사 PM이 받기 시작하면 바로 명절 반납하고 명절에 나와서 일하기 시작하는 거다 SI는 기본적으로 일정 빡빡한 프로젝트가 많은데다 그런 프로젝트가 일정 밀리면 바로 야근, 주말출근으로 이어지는 만큼 명절이라 그래도 쉬는거 없이 바로 출근 들어가는 거다 명절이 몇일 남지 않았을 때 일정이 밀리기 시작해.. 2021. 2. 7.
SI에서 좋은 PM과 계속 일을 하려면 SI에서 PM은 한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Project Manager를 말하는데 집에 일찍 가도 눈치 안주고 회식을 즐기지 않는 좋은 PM과 일찍 가면 눈치주고 회식을 즐기는 안좋은 PM으로 나뉘게 된다 SI PM 천국편 SI는 거의 대부분이 지옥이라 천국이 어딨나 싶겠지만 SI PM 지옥편 SI에서 PM은 Project Manager의 약자인데 해당 프로젝트에서 개발자들을 관리하는 사람이므로 업무와는 별개로 PM이 누구냐에 따라 flatsun.tistory.com SI PM 지옥편 SI에서 PM은 Project Manager의 약자인데 해당 프로젝트에서 개발자들을 관리하는 사람이므로 업무와는 별개로 PM이 누구냐에 따라 천국과 지옥이 갈리게 된다 근데 SI에서는 대부분 아래에 해당하는 flatsun.ti.. 2021. 2. 7.
SI 개발자가 일을 잘하면 생기는 일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취직하기 전에 본인이 취직하고 나서 트럭에 받혔다가 다시 인생 사는 사람처럼 일을 엄청나게 잘하면 어떻게 되지 이런 생각을 한번쯤은 해보게 되는데 원래 트럭에 받히면 죽는게 정상이고 트럭에 밟혀서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하면 다시 살아날 방법이 없는 만큼 처음부터 일을 잘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처음부터 일을 잘하는 사람이라면 딴 회사로 이직했겠지 후진 SI 회사에 취직하고 있겠는가 원론적인 건 그런거고 실제 일하다 보면 코딩 감각이 있거나 배우는 속도가 빨라서 실력이 훅훅 느는 사람들이 있는데 회사에서는 항상 일 잘하는 사람을 더 좋아한다 1인분만 하는 걸 기대했는데 1.5~8인분씩 하기 시작하면 같이 일하는 사람들 얼굴에 미소가 번지기 시작하는데 본인들의 일 중 간단하다 생각되는.. 2021.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