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담/웹개발(SI) 일지314

개발자에게 QA가 필요한 이유 규모가 어느 정도 있는 IT 업체에서 일하다 보면 개발한 내용에 에러는 없는지 검증해 주는 QA와 QC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데 지금까지 QA QC 없어도 개발을 잘 해왔던 만큼 굳이 필요한가.. 이런 생각이 들 수 있는데 큰 규모에 돈이 걸려있는 시스템에서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든다 먼저 개발자들은 기획자한테 들은 기능에 대해서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서 지시받은 내용을 개발하고 나면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테스트를 열심히 하지 않는 편인데 즉 개발한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되네..! 이러고 기획자와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는데 기획자는 개발자가 개발한 기능에 특정 케이스 별로 추가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되네..! 싶으면 QA 부서가 없을 경우 운영 서버로 직행하게 되는데 둘다.. 2021. 5. 19.
개발자 입장에서 본 QA QC 는 뭐하는 사람? 좀 규모 있는 곳에서 개발 업무를 하다가 보면 자주 마주치는 사람이 QA와 QC인데 각각 QA(Quality Assurance) QC(Quality Control)을 줄인 말이다 개발자가 개발한 업무에 대해서 QA는 테스트를 어떻게 할 지 설계하고 QC를 배정해주는 일을 맡고 QC는 배정받은 테스트를 가지고 QA와 QC에게 물어보면서 개발한 내역을 테스트하게 되는데 이렇게 업무가 명확하게 나뉘어져 있음에도 대부분의 경우에는 업무는 많고 인력은 부족하기 때문에 QA는 설계도 하고 테스트도 하고 QC는 그냥 테스트를 많이 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개발 업무가 끝나야 테스트가 진행이 가능한 만큼 개발자가 일정 내에 개발을 완료해 주면 QA와 QC는 일정 내에 테스트를 진행해주면 되는데 개발자/기획자 테스트의 경우.. 2021. 5. 19.
개발자 적성에 맞는지 확인방법 개발자가 본인 적성에 맞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코드를 슥 보여주고 이런거 하는게 재밌겠냐? 이러면서 이런 코드나 쓰는 직업이라고 소개하는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저렇게 코드만 던져주고 나면 대부분은 저기에서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 그래서 그냥 코드만 보고 저런거 만드는 직업이니 보고 재미가 없어 보인다면 포기해라 이런 얘기를 많이 하긴 하는데 코드를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데서 뭔가를 만드는 기쁨을 느낄 수 있다지만 기본 개념도 없는 상태에다가 뭐만 하면 에러나서 만들려고 하는 걸 하나도 만들 수가 없는데 뭐가 재미가 있겠나 스스로 공부해도 어느정도 된다고 하지마는 대부분은 스스로 공부를 한다고 해도 간단한 에러 하나 처리 못해서 빌빌대다가 어휴 난 아닌가보다 이러고 나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코드 좀.. 2021. 5. 19.
웹개발(SI) 일지를 화~목요일에 주로 보게되는 이유 통계에 의하면 블로그에서 SI 일지는 주로 화~목요일에 읽히는 경향이 있는데 일지를 보는 사람들이 주로 취준생 혹은 입사한지 얼마 안된 노예초년생이 많은 것을 고려해보면 그들은 왜 주말이나 월, 금에는 SI일지를 안 보고 화~목요일에 주로 보게 되는걸까? 먼저 금요일/주말에 웹개발일지를 보지 않는 이유는 명확한데 지옥에서 타는 사람의 얘기인데 행복한 금요일이나 주말에 뭔 그런 얘기를 보고 싶겠나 따라서 금요일이 되면 퇴근하고 놀거나 취직을 하지 않았더라도 그냥 놀 생각밖에 없으므로 개발일지 조회수가 폭락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주말에도 역시 행복한 현실에 관심이 있지 지옥의 현실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조회수가 폭락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월요일의 경우에는 주말에 쉬었기 때문에 노예.. 2021. 5. 3.
SI 혼자 파견 VS 팀 단위로 파견 SI 업체의 대부분은 제목에 쓴 두 유형중에 하나인 경우가 많은데 혼자 파견은 말 그대로 혼자 보내버린다는 거고 팀 단위로 파견은 여러명으로 묶어서 보낸다는 건데 일단 돈 자체는 혼자 보내는 경우에 좀 더 쳐주는 경우가 많다 혼자만 덜렁 보내는 거에다가 중간에 나간다고 난동피우면 업체측에서는 사람 채워넣기도 어렵기 때문에 돈을 더 쳐주는 편이지만 (점심값은 회사 카드가 아니라 푼돈으로 줄 확률이 높음) 뭐 아는게 있어야 뭔가 하는데 혼자 덜렁 가서 뭐 개발하라고 하면 뭘 어떻게 하나 아는게 없어서 철수당하는 경우도 빈번한데다 뭔가 체계적으로 배우지를 않기 때문에 배우는 것도 그냥 막배우는 경우가 많아서 기술적으로 발전하기는 좀 힘들다 다만 본인이 본인 일만 잘하면 다른 업체 사정과는 상관없이 그럭저럭 다.. 2021. 5. 1.
출퇴근시간 지켜야 하나? 개인적으로 시간 약속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9시 출근이면 9시까지 내 자리까지 가야 한다는 얘기고 6시 퇴근이면 6시에는 앉아있을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실제 일을 하다보면 9시까지 가건 말건 6시에 퇴근을 못한다 허구한날 야근하는데 무슨 6시 퇴근이란 말인가 그렇다고 야근을 하면 수당을 더 준다거나 아니면 늦게 출근한다거나 뭔가 보장해 주는 것이 하나도 없는데 9시까지 출근해야 할 이유가 있는건가 싶다 하지만 9시 출근인데 10시에 출근하다보면 그냥 영원히 출근하지 마라고 할 테니 출근 시간은 어느정도 지켜야 하는데 8시 59분에 출근해도 출근은 출근이고 9시 10분에 출근해도 출근은 출근인거다 9시에서 조금만 늦어도 무슨 세상 망한거마냥 허겁지겁 들어오는 사람들이 있는데 죽을 죄를 진 것도 아.. 2021.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