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담/웹개발(SI) 일지314

SI 개발실은 어떤 곳? SI는 환경이 너무 열악해서 장례식장 분향소에서 상주와 함께 무덤 속에서 해골과 함께 바다 한가운데에서 물고기들과 함께 개발한다는 내용의 글을 찾아볼 수 있을텐데 SI가 전반적으로 열악하기는 하지만 사실 그 정도로 열악하게 개발하지는 않는다 일단 대부분의 SI 프로젝트는 대기업/공공기관 등에서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대기업/공공기관에서 개발실을 준비해 놓고 개발자들은 몸하고 노트북만 가져가서 개발을 하게 되는데 대부분 회사 건물 내에 개발실을 마련해 놓거나 혹은 회사 건물 근처 빌딩을 임대해서 개발실로 만들어 놓기 때문에 실제 취직을 했을 경우 장례식장에서 상주와 개발하거나 혹은 무덤 속에서 해골과 함께 개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대기업/공공기관에서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해서.. 2021. 8. 1.
SI 재택근무 시 시간이 엄청나게 남는 이유 요즘은 코로나 덕분에 SI라 할지라도 재택근무를 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게 SI에서 지옥의 고통을 느끼다가 재택근무를 하게 되면 엄청난 시간적 여유가 생기게 된다 일단 출퇴근 시간이 없어지기 때문에 아침에 일어나서 출근 준비하고 버스와 지하철에서 보내는 시간이 없어지고 상사와는 온라인으로만 만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회식 자리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SI는 강제 야근이 기본인 경우도 많은데 온라인으로 근무할 경우에는 강제 야근을 한다고 하면 그냥 노트북만 켜놓고 딴짓을 하거나 아니면 자연스럽게 노트북을 끄고 도망갈 수 있는데 혹여나 부른다고 한들 그냥 노트북만 켜놓고 딴짓하면 되기 때문에 딱히 야근이 부담이 되질 않는다 여기에 재택근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자연스럽게 근무량을 세탁하는 스킬이 생기기 때문에 .. 2021. 7. 20.
SI 뻥튀기 말하기 VS 말 안하기 SI에서 악질 사장을 만나 뻥튀기로 프로젝트에 투입되게 되면 3년차 아닌데 3년차로 투입되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죄책감을 가지다 아 이거 말을 해야되나 말아야 되나 이런 고민에 휩싸이게 되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말을 할 필요가 없다 일단 인터뷰 과정에서 혹은 업무를 하다가 보면 대부분이 뻥튀기구나 아니구나를 금새 눈치채지만 (내 경험상 1주면 충분하다) 너 뻥튀기지!? 이렇게 취조하는 경우는 없고 이미 인터뷰를 보기 전에 악질 사장이 3년같은 1년입니다 3년은 아니지만 열심히 할 인재입니다 이런 밑밥을 깔아놓기 때문에 딱히 말할 필요가 없다 즉 신규 프로젝트 들어왔는데 3년스럽지 않게 엄청나게 못한다 이러면 대부분은 아 1년 혹은 1년 이하 경력인데 뻥튀기로 들어왔구나.. 이 정도로 생각하기 때문에 술자.. 2021. 7. 18.
SM 개발자 최악의 순간 SM 개발자는 기본적으로 완성된 프로젝트를 가지고 운영하는 업무가 핵심이기 때문에 년도가 지나면 지날수록 에러는 줄어들고 업무 강도는 낮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SI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무한 칼퇴와 워라밸을 기대할 수 있는 직군이기도 한데 입사부터 땅에 묻히는 그날까지 무조건 편하다는 것은 아니고 고통의 순간 역시 존재하기 마련인데 슬슬 집에 가려고 짐 싸고 있는데 전화와서 긴급한거 고쳐달라고 해갖고 퇴근도 못하고 노트북 붙들고 있는것도 물론 발암을 유발하지만 가장 고통받는 상황은 SI 프로젝트를 인수인계 받는 상황인데 대기업에서는 정기적으로 현재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차세대 / 고도화 / 통합시스템 구축 등 그냥 좀 가만히 냅두지 계속 돈 발라가며 시스템을 발전시켜 나가게 되는데 문제는 SI 개발 .. 2021. 7. 11.
SM 오래하면 커리어에 좋지 않은 이유 SM은 System Management의 약자인데 이게 뭔 말이냐면 그냥 유지보수라는 얘기다 기존 프로젝트를 계속 운영하면서 에러 있으면 고쳐주고 프로세스 상 처리 안되는 문제 있으면 강제로 DB 업데이트 쳐주고 장기적 개선 과제 있으면 그런거 개발도 진행하게 되는데 SM은 SI에서 개발된 내역을 넘겨받는 초기에는 에러가 하도 많아서 그거 고치느라 엄청난 야근을 하게 되지만 아무리 에러가 많다고 해도 한두달 고치면 웬만한 에러는 다 고쳐지기 마련이고 에러가 다 고쳐지는 순간부터 이렇다 할 업무를 주지 않고 개발 기한도 엄청나게 널널하게 주기 때문에 SI에 비해서 시간이 엄청나게 남는다 그럼 근무시간에 소스 뜯어보면서 공부하면 커리어 200배!? 이런 생각이 들겠지만 현실은 커리어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 2021. 7. 11.
SI/SM 취직 후 선택이 가능할까? SI SM 직무별 차이부터 장단점까지 웹개발 회사를 들어가면 본인의 의사와는 크게 상관없이 사장님의 의사에 따라 SI 혹은 SM 직무로 배치가 되게 될텐데 먼저 SI는 System Integration의 약자로 시스템 개발직을 의미한다 SI의 경우에는 flatsun.tistory.com 웹개발 방향으로 취직할 때 SI(개발)/SM(유지보수) 직군으로 뽑는 경우가 대부분인 만큼 두 직군이 뭐 하는지는 알아보는 경우가 많을텐데 상세한 차이는 위 링크를 참고하면 되고 취직을 하고 나면 구인 공고에는 SI/SM으로 기입이 되어 있긴 했었겠지만 현실은 SI만 하는 회사 SM만 하는 회사 이런 경우는 안타깝게도 없고 대부분의 웹개발 회사는 SI/SM을 같이 하는 경우가 대다수라 SI로 취직을 했다고 하더라도 SI .. 2021. 7.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