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담/웹개발(SI) 일지314

SI/SM 취직 VS 공부해서 딴데가기 이거 국비지원 학원 수료할 때쯤 대부분이 하는 고민인데 SI가 아무리 취직하기 쉽다고는 하지만 실제 내 SI 일지를 보면 알다시피 급여는 적고 근무시간은 길고 강제 야근에 회식에 온갖 방법으로 고통을 주는데 그냥 저런데 취직하느니 더 공부해서 네카라쿠배 기타등등 급여 짱짱하고 복지 좋은 회사는 아니더라도 SI/SM 말고 더 좋은 회사를 취직하는게 낫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결국 선택지는 학원 수료하고 공부 더 해보면서 좋은 회사 노려보기 VS SI/SM 취직한 후 공부를 통해 경력직 이직 노려보기 둘 중에 하나를 고를 수 밖에 없게 되는데 솔직히 말해서 어느 선택지가 베스트다 이런 말은 할 수가 없다 성공한 케이스도 봤고 실패한 케이스도 봤기 때문에 본인이 어떤 선택지를 골랐을 경우 성공할지 실.. 2021. 7. 11.
SI 52시간 이상 근무하지 않으면 업계 망하나? 인터넷에서 기사를 보다보면 52시간 근무하면 IT 업계 다 망한다 이러는데 이게 별 의미가 없는게 나라에서 근무 시간을 측정하는게 아니라 근로자가 52시간 넘겼는데요 이런 식으로 신고를 해야 하는데 이러면 뭐 퇴사하겠다는 얘기랑 뭐가 다른가 회사를 찌르고도 회사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나? 그렇다고 52시간이 짧은 시간이라고 말하기에는 기본 근로시간이 40시간인 것을 고려해보면 매주 12시간을 추가로 더 일한다는 건데 8시에 출근해서 오후 8시에 퇴근해도 주 50시간밖에 안되는 걸 생각해보면 하루에 10시간씩만 일해도 죽어나는데 52시간으로도 부족하다는 건 뭐 장난하자는 건가? 업무 특성상 52시간을 넘길 수 밖에 없다고 하는데 업무 특성은 그렇다 치고 업무 특성상 52시간을 넘겨야 하니 돈도.. 2021. 7. 11.
개발자에게 겸손함이 중요한 이유 SI 취직은 진짜 아무나 할 수 있을 정도로 난이도가 낮기 때문에 똑같은 신입이라고 해도 누구는 개발 감각이 있어서 가만히 냅둬도 잘하지만 누구는 메소드 사용법부터 가르쳐야 하는 막막한 상황이 공존하게 되는데 처음에는 누구나 다 겸손하지만 2-3년 정도 경력이 쌓이기 시작하면 신입/동년차와 실력 격차가 벌어지기 시작하면서 슬슬 본성 나오기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게 본인이 코딩 더 잘한다고 신입이나 비슷한 연차를 갈구는 걸 보면 저건 좀 아니지 않나 싶은데 좀 갈구는 수준을 넘어서 남에게 분노를 유발시킬 정도로 갈구면 진짜 무덤파는 지름길인거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연차도 얼마 안되면서 갈구기 시작하는 사람들은 남의 분노를 유발시키지 않을 정도로 갈구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옆에서 조용히 보고 있으면 주.. 2021. 7. 10.
SI에서 프로그램 완성의 기준은? SI 프로젝트에서 투입되면 많은 경우 엑셀 형태로 본인이 뭘 만들어야 하는지 리스트를 쭉 받게 되는데 여기서 신입이 특정 기능을 만들었다고 치면 분명히 완성이라고는 하는데 실제 테스트를 해 보면 엄청 허술하게 만들어서 이게 완성? 싶을 정도로 퀄리티가 낮은 경우가 많다 그래서 만들고 테스트를 해봤냐고 물어보면 테스트를 안해봤다고 한다 그럼 완성이 아니지 않나.. 해당 현상은 신입 개발자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인데 빨리 만드는 것도 좋지만 문제는 실제 완성했다고 했을 때 진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완성이 되었냐는 거다 먼저 신입은 매우 간단한 기능 위주로 업무를 받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가장 자주 보이는 예제는 특정 테이블을 가지고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를 사용할.. 2021. 7. 10.
SI에서 성과급 주긴 하나? IT 기업들은 성과급을 엄청 많이 준다는 내용을 인터넷에서 주로 보다보니 성과급 주는 시즌이 되면 SI 업체도 성과급을 주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긴 하는데.. 현실은 거의 대부분의 기업이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고 지급한다고 한들 액수가 터무니없이 적은 경우가 많다 대충 주변을 보면 30~100 안에서 성과급을 지급하는 경우가 많던데 아니 분명히 사장님이 대기업에 비싸게 팔아먹고 나한테는 돈을 조금 주는 폭리를 취하고 있어서 돈을 많이 챙겨주실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막상 받아보면 블로그 한달 수입보다 못한 금액을 성과급이라고 주는데 지금 나랑 장난하자는 건지.. 이마저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준다고 고마워해야 하나? 싶지만 월급이 너무 적기 때문에 성과급 조금 받는다고 별로 기쁘지가 않다.. 2021. 7. 10.
웹개발 시 사수의 중요성 취직 시 사수 없는 곳으로 가면 개고생한다 이런 말을 많이 들어봤을 텐데 진짜 사수 없으면 개고생하는 게 맞아서 가급적이면 사수가 있는 곳으로 가는게 좋다 사수는 뭐 대단한 개념이 아니라 내가 모르는 거 물어볼 수 있는 사람 이 정도로 생각하면 되는데 신입 뻥튀기해서 3년으로 구라치고 팔아먹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사수가 있을텐데 여기서 사수가 도움이 되냐 아니냐에 따라 개발자 본인의 성장이 크게 갈리게 된다 여기서 사수 없어도 본인이 공부도 하고 그럴텐데 사수가 없는게 그렇게 중요한가? 싶겠지만 사수는 본인이 겪고있는 어려움을 한참 전에 다 겪어본 사람이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면 뭐가 문제여서 발생했는지 그걸 해결하거나 개선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코딩을 해야 하는지 알고있기 때문에 본인이 .. 2021. 7. 3.

반응형